ASUS P5LD2 메인보드에 E-IDE(PATA) 타입의 HDD에 XP를 설치하려면...
Development2011. 1. 13. 01:29
EIDE(PATA) 타입과 SATA 타입이 혼재하던 시절, 그러니까 막 SATA가 등장하여 메인보드에 두 가지 타입의 소켓이 모두 들어 있던 과도기 시절...
다른 메인보드들은 모르겠다 어떠한 방식으로 IDE 타입을 지원했는지는. 하지만, 아수스의 P5LD2의 경우 메인보드에서 에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처리를 하고 있는 듯 했다. 뭔 소린고 하니, 실제 SATA 타입의 HDD를 장착하여 CMOS에서 확인을 해 보면 자동으로 detect하여 SATA HDD가 보드에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근데, EIDE(PATA, 그놈이 그놈인데 자꾸 같이 쓰려니 귀찮다. 이후부터는 PATA로 통일..) 타입의 경우, 분명히 제대로 연결을 했는데도 당최 CMOS에선 나타나지 않는다. 부팅하는 모습을 잘 보고 있노라면, 로고가 사라진 후 IDE를 detecting하는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타이밍에서 PATA HDD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발생하는 문제가, SATA HDD 없이 오직 PATA HDD만으로 XP를 설치하려고 하면 하드가 없다면서 설치를 할 수 없다는 답답한 메시지를 화면에 씨부리는, 처음 당하면 무지 열받고 황당한 시츄에이션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분명히 메인보드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해 놓았는데 말이다!!
이유는, 당근 XP설치 CD에는 메인보드가 사용하는 IDE 컨트롤러에 대한 드라이버가 들어 있지 않으니, 암만 보드에 HDD가 제대로 연결이 되어 있다한들,
driver도 없는데 지깟게 무슨 수로 장치를 찾고 거기다 XP를 설치할 수 있겠느냔 말이지.
고로, PATA HDD에다가 XP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해야 한다.
(아마도, 1번은 거의 쓰지 않는 솔루션이 될 듯...요새 누가 FDD를 쓰나...ㅡㅡ;;)
그래서, 긴 말 안할란다. 메인보드랑 같이 제공되는 CD에 드라이버 있으니 알아서 재주껏 FDD를 이용할 것.
가장 쉬우면서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걍 CD-ROM하고 함께 묶어 버리는 것이다. Master/Slave를 위한 점퍼만 잘 셋팅해 주고 두 개를 한 케이블에 연결하여 CD-ROM용 소켓에 연결한 뒤 XP 설치 CD를 돌려보면 이번엔 제대로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속도만 좀 느릴 뿐, 같은 인터페이스니까...ㅋ
(ATAPI니 Ultra DMA니 이딴 용어들이 막 나와야 하는데, 정말 귀찮다...ㅠㅠ 이젠 사라져가는 놈들인데 굳이 알려고 들 필요는 없을 듯...^^;;)
XP를 설치하는데에는 일단 성공했다. 근데, 계속 ODD랑 HDD랑 묶어 둘 꺼임?? 안되지 절대로...!!
그럼 이제 할 일은 XP로 부팅한 뒤, 드라이버 잡아주고 다시 ODD와 HDD를 분리하여 제대로 연결해 줘야 한다.
일단,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전. 장치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메인보드와 함께 제공된 CD를 넣어보면,
위의 그림처럼 ITE8211 IDE Driver를 설치해 준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XP를 종료하고 HDD를 제대로 달아준다.
다시 부팅하여 장치관리자를 보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남는 PATA 처리하려니 참 귀찮네...
다른 메인보드들은 모르겠다 어떠한 방식으로 IDE 타입을 지원했는지는. 하지만, 아수스의 P5LD2의 경우 메인보드에서 에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처리를 하고 있는 듯 했다. 뭔 소린고 하니, 실제 SATA 타입의 HDD를 장착하여 CMOS에서 확인을 해 보면 자동으로 detect하여 SATA HDD가 보드에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근데, EIDE(PATA, 그놈이 그놈인데 자꾸 같이 쓰려니 귀찮다. 이후부터는 PATA로 통일..) 타입의 경우, 분명히 제대로 연결을 했는데도 당최 CMOS에선 나타나지 않는다. 부팅하는 모습을 잘 보고 있노라면, 로고가 사라진 후 IDE를 detecting하는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타이밍에서 PATA HDD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발생하는 문제가, SATA HDD 없이 오직 PATA HDD만으로 XP를 설치하려고 하면 하드가 없다면서 설치를 할 수 없다는 답답한 메시지를 화면에 씨부리는, 처음 당하면 무지 열받고 황당한 시츄에이션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분명히 메인보드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해 놓았는데 말이다!!
이유는, 당근 XP설치 CD에는 메인보드가 사용하는 IDE 컨트롤러에 대한 드라이버가 들어 있지 않으니, 암만 보드에 HDD가 제대로 연결이 되어 있다한들,
driver도 없는데 지깟게 무슨 수로 장치를 찾고 거기다 XP를 설치할 수 있겠느냔 말이지.
고로, PATA HDD에다가 XP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해야 한다.
(아마도, 1번은 거의 쓰지 않는 솔루션이 될 듯...요새 누가 FDD를 쓰나...ㅡㅡ;;)
1. Floppy Disk에 드라이버를 담아 XP 설치 진행중에 드라이버 로드하여 사용하기
XP가 등장한 지도 벌써 하안참~ 오래 된 일이라, 혼자서 자기 PC에 OS설치할 줄 아는 사람들은 아마도 한 번쯤은 접해 봤을 법한 방법이다.그래서, 긴 말 안할란다. 메인보드랑 같이 제공되는 CD에 드라이버 있으니 알아서 재주껏 FDD를 이용할 것.
2. ODD와 함께 연결하여 일단 설치하기
뭐, 사실 nLite같은 툴을 이용하면 드라이버가 포함된 CD를 만들어내는 것도 그리 어렵거나 복잡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치만, 그렇게 따로 CD를 또 만드는일 자체가 귀찮다. ㅡㅡ;; nLite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도 안되고 CD를 구워낼 여건도 안되면 그건 또 그거 나름대로 골치...ㅡ,.ㅡ;;가장 쉬우면서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걍 CD-ROM하고 함께 묶어 버리는 것이다. Master/Slave를 위한 점퍼만 잘 셋팅해 주고 두 개를 한 케이블에 연결하여 CD-ROM용 소켓에 연결한 뒤 XP 설치 CD를 돌려보면 이번엔 제대로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속도만 좀 느릴 뿐, 같은 인터페이스니까...ㅋ
(ATAPI니 Ultra DMA니 이딴 용어들이 막 나와야 하는데, 정말 귀찮다...ㅠㅠ 이젠 사라져가는 놈들인데 굳이 알려고 들 필요는 없을 듯...^^;;)
XP를 설치하는데에는 일단 성공했다. 근데, 계속 ODD랑 HDD랑 묶어 둘 꺼임?? 안되지 절대로...!!
그럼 이제 할 일은 XP로 부팅한 뒤, 드라이버 잡아주고 다시 ODD와 HDD를 분리하여 제대로 연결해 줘야 한다.
일단,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전. 장치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메인보드와 함께 제공된 CD를 넣어보면,
위의 그림처럼 ITE8211 IDE Driver를 설치해 준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XP를 종료하고 HDD를 제대로 달아준다.
다시 부팅하여 장치관리자를 보면 아래와 같은 부분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남는 PATA 처리하려니 참 귀찮네...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깨어나 화면을 밝게 하기 (0) | 2011.01.13 |
---|---|
[ShowMeSms] 3. Wake up from the sleep mode & Epillogue (0) | 2011.01.13 |
[ShowMeSms] 2. Add SmsReceiver class (0) | 2011.01.13 |
[ShowMeSms] 1. Prologue & Create project (0) | 2011.01.13 |
"content://sms/inbox/" URI를 이용하여 저장된 sms messages 읽어 오기 (0) | 2011.01.11 |